오전 11시 국회 본청 앞에 100여명의 세월호 참사 희생자·생존자·실종자 가족들이 모였다. 이들은 노란 종이배와 희생자들을 향한 마음이 담긴 천으로 국회 본청 앞 계단을 장식했다. <br /><br />국회에서 연좌농성을 벌이고 있는 세월호 희생자·생존자·실종자 가족대책위원회(이하 가족대책위)는 13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'무늬만 특별법'이 아닌 제대로 된 세월호 특별법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. <br /><br />가족대책위는 대한변호사협회와 함께 '4·16 참사 진실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(안)'을 만들어 지난 9일 입법청원했다.<br /><br />이 법안은 ▷특위를 국회와 피해자 단체가 추천한 각 8명(모두 16명)의 위원으로 구성하고 ▷위원회 임기를 2년(필요하면 1년 연장)으로 보장하고 ▷위원장에게 의안 제출권과 예산 관련 권한·상임위원에게 독립적 검사의 지위 및 권한 부여하고 ▷조사관 100명을 확보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.<br /><br />대책위는 "국회는 피해가족이 국민 350만명의 서명을 모아 입법청원한 법안을 받아들이되 다른 특별법을 제정한다면 해당 법의 각 조항이 어떻게 더 철저한 진상조사와 안전사회 건설을 가능케 하는지 소상히 밝혀야 한다"고 주장했다.<br /><br />희생된 단원고 학생들의 사진 위에 '미안하다, 잊지 않을게. 진실을 꼭 밝힐게'라는 글귀가 적힌 현수막을 함께 들었다. 가족대책위 구성원들의 손마다 '유가족 참여 특별법 제정'이라고 적힌 손피켓이 들려 있었다. <br /><br />가족대책위는 "(참사가 일어난) 4월 16일로부터 89일이 지났다. 돌아오지 않은 가족을 기다리는 팽목항에는 피 말리는 고통이 멈춰있다"고 말했다. <br /><br />가족대책위는 "가족들은 철저한 진상조사와 책임자 엄중 처벌, 다시는 참사가 재발되지 않도록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는 제대로 된 특별법을 원한다"며 "국민이 참여하고 가족들이 참여하는 특별법을 만들어야 한다"고 설명했다. <br /><br />김병권 가족대책위 위원장은 "국회는 4.16 참사 피해자 가족들과 특별법 제정을 위해 서명한 350만의 국민이 입법 청원한 4.16 참사 특별법안을 받아들이고 시급히 제정해야 한다"고 말했다. <br /><br />가족대책위는 "피해가족들이 여·야의 부실한 협의 끝에 무늬 뿐인 특별법이 제정되는 것을 우려해 국회 본관 앞에 머무르며 피해가족이 참여하는 3자 협의체 구성을 요청했지만 새누리당은 이를 거부했다"고 비판했다. <br /><br />그러면서 "믿을 수 있는 특별위원회 구성, 충분한 활동기간 보장, 조사의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사권 등 부여, 참사재발방지대책 등이 반드시 특별법에 들어가야 한다"고 강조했다. <br /><br />가족대책위 법률지원을 맡고 있는 대한변협 박종운 변호사는 "우리 법률안의 대부분은 진실규명과 대안마련, 또 이를 어떻게 이행할 것인지가 핵심"이라며 '특별법은 그들(피해가족)만의 법'이라는 인식은 오해라고 말했다. <br /><br />가족대책위는 "국회가 제대로 된 특별법을 제정할 것을 약속할 때까지 국회에서 물러나지 않겠다"고 밝혔다. <br /><br />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단원고 박혜선 학생의 어머니 임선미 씨는 "지금 엄마들의 마음은 사는 것이 사는 것이 아니고 못 지켜준 것이 너무 미안하다"고 울부짖었다. <br /><br />이어 "국회에 처음와서 2박 3일 머물렀을 때 여야 대표들에게 '엄마 아빠의 마음으로 해달라'고 분명히 말했다"며, "간곡히 부탁드린다. 이유도 없이 죽은 우리 새끼들, 조금의 한이라도 풀 수 있게 역지사지의 마음으로 임해달라"며 눈물을 흘렸다.